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집에서 <화상>에 대처하는 방법 - 9만 기억하자

by 너스트레더 2025. 3. 21.
반응형

 

 

이번에 저의 아기는 스팀다리미의 마개에 화상을 입었습니다. 화상은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. 이번에는 화상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. <화상>은 주로 열, 전기, 화학 물질, 방사선 등에 의해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. 일상생활에서 화상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 요리 중 뜨거운 물이나 기름에 튀었을 때, 다리미나 헤어 드라이어 같은 가전제품에 접촉했을 때, 주방에서 뜨거운 냄비나 오븐을 만졌을 때, 전기기구를 잘못 사용했을 때, 청소 시 화학 세제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가벼운 화상(1도 및 일부 2도)은 집에서도 응급처치와 적절한 소독을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. 간호학적 원칙을 바탕으로, 집에서 화상에 대처하는 방법과 소독 절차를 순서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
 

위의 그림은 화상의 부위별 9% 법칙(또는 체표면적 9% 법칙)은 화상 면적을 빠르고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화상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법칙이 필요합니다. 특히, 화상 환자의 체액 손실량을 계산하고, 입원 필요 여부를 판단하며, 수액 치료량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
 

성인과 소아의 9% 법칙 설명

이 법칙은 성인소아에서 적용 방법이 다소 다릅니다.

성인

성인에서는 몸의 주요 부위를 9% 단위로 나누어 계산합니다.

  • 머리와 목: 9%
  • 한 팔 (왼쪽/오른쪽): 각각 9%
  • 앞면 몸통: 18%
  • 뒷면 몸통: 18%
  • 한 다리 (왼쪽/오른쪽): 각각 18%
  • 회음부(성기 부위): 1%

소아

소아는 성인과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비율이 다르게 계산됩니다.

  • 머리와 목: 18% (머리가 성인보다 더 큰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)
  • 한 팔 (왼쪽/오른쪽): 각각 9%
  • 앞면 몸통: 18%
  • 뒷면 몸통: 18%
  • 한 다리 (왼쪽/오른쪽): 각각 14% (다리 비율이 성인보다 작음)
  • 회음부: 1%

위험한 상태 (중증 화상 기준)

화상의 위험도와 심각성은 면적과 깊이에 따라 다릅니다. 다음과 같은 경우 위험한 상태로 간주합니다.

  1. 전체 체표면적(TBSA) 20% 이상 화상: 수액 손실과 쇼크 위험 증가.
  2. 심한 2도(부분층) 이상 또는 3도(전층) 화상: 피부의 깊은 손상으로 인해 감염과 합병증 위험이 큼.
  3. 호흡기 화상: 얼굴, 목, 입 주변에 화상이 있거나 연기 흡입 증상이 있는 경우.
  4. 회복 불가능한 깊은 화상: 근육, 뼈까지 손상된 경우.
  5. 어린이, 노인, 만성질환자: 면역력이 약해 화상 치료가 어렵고 합병증 위험이 큼.
  6. 화학, 전기 화상: 조직 손상이 더 깊고 합병증 위험이 큼.

이러한 상황에서는 즉시 전문 의료기관으로 이송하고, 수액 치료화상 치료를 신속히 시작해야 합니다.

 

화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

화상은 손상의 깊이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됩니다:

  1. 1도 화상 (표피 손상)
    • 피부의 가장 바깥층만 손상
    • 증상: 붉어짐, 통증, 건조함
  2. 2도 화상 (진피까지 손상)
    • 물집이 생기며 피부층이 깊이 손상
    • 증상: 붓기, 물집, 심한 통증
  3. 3도 화상 (피부 전층 손상)
    • 피부의 모든 층이 손상, 경우에 따라 신경 손상 포함
    • 증상: 피부가 하얗거나 탄 상태, 통증이 없을 수도 있음

집에서 화상 응급처치 및 소독 방법

경미한 화상의 경우 아래 절차를 따르면 효과적입니다.


1. 응급처치 단계

  1. 화상 부위 즉시 식히기
    • 찬물로 10~20분 동안 화상 부위를 식혀 줍니다.
    • 찬물은 피부 온도를 낮추고, 통증을 줄이며, 손상 부위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   • 얼음 사용 금지: 피부를 더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.
  2. 옷 제거
    • 화상 부위에 닿아 있는 옷이나 장신구를 조심스럽게 제거하세요.
    • 물집이 터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  3. 물집 관리
    • 물집이 생겼다면 터트리지 않습니다. 자연스럽게 치유되도록 놔두세요.
    • 물집이 터졌다면 깨끗한 거즈로 덮고 즉시 소독합니다.
  4. 통증 완화
    • 필요하다면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세요.

2. 화상 부위 소독 및 관리 방법

목표: 감염 예방, 상처 치유 촉진

준비물

  • 깨끗한 물 또는 생리 식염수
  • 순한 비누 (선택 사항)
  • 클로헥시딘(Chlorhexidine) 또는 요오드계 소독제 (예: 베타딘)
  • 멸균 거즈
  • 항생제 연고 (예: 네오마이신, 바시트라신)
  • 멸균 거즈 패드 또는 상처 커버
  • 붕대

소독 절차

  1. 손 씻기
    • 상처를 만지기 전 반드시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.
  2. 화상 부위 세척
    • 흐르는 찬물로 부드럽게 씻어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합니다.
    • 부드러운 비누를 사용해도 좋으나,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.
  3. 소독
    • 클로헥시딘이나 요오드계 소독제를 거즈에 적셔 화상 부위를 부드럽게 닦아 소독합니다.
    • 상처 주변 피부도 소독하여 감염을 예방하세요.
  4. 항생제 연고 바르기
    • 소독 후, 얇게 항생제 연고를 발라 감염 예방과 치유를 촉진합니다.
  5. 상처 덮기
    • 멸균 거즈를 사용하여 화상 부위를 덮습니다.
    • 필요시 비접착성 거즈를 사용하여 상처가 거즈에 달라붙지 않게 합니다.
  6. 붕대로 고정
    • 거즈를 붕대로 고정해 상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세요.

3. 관리 및 주의사항

  • 하루 1~2회 소독을 반복하고 항생제 연고를 발라 상처를 청결히 유지하세요.
  • 통증 관리: 필요시 진통제를 복용하세요.
  • 감염 징후 확인: 상처가 붉어지거나 고름이 생기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.
  • 물집이 터진 경우: 거즈를 깨끗이 바꿔주고 감염에 주의하세요.
  • 식이 관리: 비타민 C와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 상처 치유를 돕습니다.

4.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

  • 화상이 넓은 부위를 차지하거나 2도 이상인 경우
  • 얼굴, 손, 발, 성기 부위에 화상이 있는 경우
  • 화상 깊이가 3도인 경우
  • 고통이 심하거나 감염이 의심될 경우

화상 응급처치와 소독을 올바르게 수행하면 감염을 예방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. 위의 절차를 따라 안전하게 관리하세요.

반응형